구사론 파아품에 나타나는 무아(無我, anattan)의 변용 I - 5가지 사례를 통한 니까야의 무아 유형과 비교

Research output: Contribution to journalArticlepeer-review

Original languageKorean
Pages (from-to)31
Journal불교학연구
Volume71
DOIs
StatePublished - 2022

Cite this